-
20세기 후반 실존주의 교육사상: Bollnow, Buber교육학 2023. 7. 21. 01:23반응형
20세기 후반 실존주의 교육사상은 교육의 목적과 방법을 개인의 존재와 경험에 중점을 두어 탐구하는 철학적 관점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러한 사상은 개인의 자유와 의식적 삶의 방식을 중요시하며, 학생들이 더 나은 자아를 발견하고 사회적으로 참여하며 성장하는데 초점을 둡니다.
폴 보르노브와 마르틴 부버는 실존주의 교육사상을 발전시킨 중요한 인물로서, 각각의 교육사상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실존주의 교육사상의 개념과 특징실존주의 교육사상은 20세기 후반에 뚜렷하게 부각되었습니다.
이 사상은 인간의 존재와 경험에 집중하여 교육의 목적과 방법을 탐구합니다.
인간은 단순한 지적 생물체가 아니라, 존재하는 존재로서 자유로움과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존재와 경험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접근을 제시합니다.
이는 교육자들이 학생들의 내적 세계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학생들의 경험과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사상은 교육의 본질과 의의를 철학적으로 탐구하고, 개인의 존재와 성장을 중요시하는 현대 교육의 중요한 이론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보르노브 (Bollnow)의 교육사상예르크 루드비히 보르노브(ERich Ludwig Bollnow)는 독일의 교육철학자이며, 20세기 후반의 실존주의 교육사상을 발전시킨 중요한 인물입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인간과 공간"과 "인간의 성장과 형성" 등이 있습니다.
1. 교육사상:
보르노브의 교육사상은 인간의 형성과 자기실현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그는 교육의 목표로서 학생들이 자신의 내적 세계를 탐구하고,
주변 환경과 조화롭게 상호작용하며, 삶의 여러 측면에서 깊이 있는 경험을 쌓아가도록 하는 것을 제시했습니다.
2. 교육목적:
보르노브의 교육목적은 학생들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며, 자유로운 사유와 자율적 행동을 통해 자기 실현을 이루는 것입니다.
그는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생들이 예술, 철학, 문학 등과 함께 자기 깊은 내면을 탐구하고, 삶의 중요성을 깨닫도록 도왔습니다.
3. 교육방법:
보르노브의 교육방법은 '경험적 학습'과 '인문학적 교육'을 강조합니다.
그는 학생들이 예술, 문학, 철학 등의 인문학적인 내용을 통해 감성적이고 직관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또한,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자기 성장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중요하게 봤습니다.부버 (Buber)의 교육사상
마르틴 부버는 오스트리아의 유대인 철학자이며, 대중과의 대면과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인터페이스 철학과 함께 실존주의 교육사상에도 큰 영향을 미친 학자입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나와 주"가 있으며, 이는 자기와 타자 사이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탐구하는 철학적인 작품입니다.
1. 교육사상:
부버의 교육사상은 '대면적 교육'과 '윤리적 관계'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그는 교육이 타자와의 상호작용과 인간관계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며,
자기와 타자의 유대와 소통이 교육의 핵심이라고 주장했습니다.
2. 교육목적:
부버의 교육목적은 학생들이 대상으로 하는 다른 사람들을 존중하고, 타자와의 인간관계를 통해 성장하고 발전하는 것입니다.
그는 교육이 사회적 관계와 윤리적 교류를 통해 인간성을 실현하고 공동체에 기여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습니다.
3. 교육방법:
부버의 교육방법은 '대면적 대화'와 '사회적 경험'을 강조합니다. 그는 학생들이 진정성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타자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윤리적인 가치를 깨닫도록 지원했습니다.
또한, 학생들이 사회적 활동을 통해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성장하도록 도왔습니다.
폴 보르노브와 마르틴 부버의 교육사상은 실존주의 교육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자율성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접근 방식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상들은 현대 교육의 발전과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며, 인간성을 존중하고 발전시키는 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실존주의 교육사상은 개인의 성장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며, 교육의 목적과 방법에 철학적 탐구를 바탕으로 한 현대 교육의 중요한 이론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반응형'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의 교육철학: 노자, 공자, 맹자, 주희 (0) 2023.07.21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과 교육 (0) 2023.07.21 존 듀이(John Dewey)의 교육철학 (0) 2023.07.21 페스탈로치 (J.H. Pestalozzi)와 3H 전인교육 (0) 2023.07.21 루소(Jean Jacques Rousseau)의 자연주의 사상 (0) 2023.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