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행정
-
지도성(리더십) 이론: 지도자의 다양한 측면과 특성교육학 2023. 7. 25. 08:10
지도성(리더십) 이론은 지도자의 특성과 행동, 상황에 따른 영향 등을 연구하여 효과적인 리더십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지도자 특성론, 지도자 행위론, 상황적 특성론, 문화적 지도성, 초우량 지도성, 도덕적 지도성, 변혁적 지도성 이론과 같은 다양한 이론들이 제시되었으며, 지도자의 심리적 측면, 행동 과학적 측면, 사회과학적 측면 등 다양한 차원에서 지도성을 접근합니다. 1. 지도자 특성론 (심리적 측면) 지도자 특성론은 지도자의 개인적 특성과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성향과 능력을 중심으로 연구합니다. 이러한 이론은 "위인이론"으로도 불립니다. 위인이론은 지도자의 성격, 지능, 동기, 자기신뢰 등의 개인적인 특성이 효과적인 리더십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2. 지도자 행위론 (행동 과학적..
-
인지적 상담이론, 정의적 상담이론, 행동적 상담이론교육학 2023. 7. 24. 22:08
인지적 상담이론 1. 윌리엄슨(Williamson)의 지시적 상담이론 윌리엄슨의 지시적 상담이론은 1950년대에 개발된 상담 이론으로, 목표 지향적이고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이론은 피상담자의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그에 따라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상담자는 피상담자가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상담의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 분석 (Exploration): 상담자와 피상담자는 함께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피상담자의 의견과 감정을 자세히 듣습니다. 상담자는 질문을 통해 피상담자가 직면한 문제와 그에 대한 인식을 자세히 이해합니다. - 종합 (Summarization): 상담자는 분석한 정보를 종합하여 피상담자의 상황을 파악합니다. 피상담자..
-
수행평가(복합적 평가)의 특징과 종류교육학 2023. 7. 24. 09:30
수행평가는 알고있는 것을 행할 수 있는가와 행동으로 옮겨진 것에 대한 복합적인 평가입니다. 학습의 결과물이 아니라 학습자의 실제 적용과 응용 능력을 평가하는 교육평가의 한 유형입니다.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해결하는지를 평가하여 학습의 효과를 평가합니다. 이는 지식뿐만 아니라 기술, 응용력, 문제해결 능력 등을 평가하는데 중점을 두며, 실제 능력을 더 정확히 파악하는데에 도움을 줍니다. 수행평가의 개념 수행평가는 학습자들이 학습한 내용을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응용하는지를 평가하는 교육평가의 방법으로, 지식과 능력의 적용 능력을 중심으로 평가합니다. 이는 학습자들의 동기를 높이고 자기 효능감을 강화시키며, 학습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고 스스로 학습과 응용의 주체가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