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교육학

Today
Yesterday
Total
  • 수행평가(복합적 평가)의 특징과 종류
    교육학 2023. 7. 24. 09:30
    반응형
    수행평가는 알고있는 것을 행할 수 있는가와 행동으로 옮겨진 것에 대한 복합적인 평가입니다.
    학습의 결과물이 아니라 학습자의 실제 적용과 응용 능력을 평가하는 교육평가의 한 유형입니다.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해결하는지를 평가하여 학습의 효과를 평가합니다.
    이는 지식뿐만 아니라 기술, 응용력, 문제해결 능력 등을 평가하는데 중점을 두며, 실제 능력을 더 정확히 파악하는데에 도움을 줍니다.

     

      수행평가의 개념

    수행평가는 학습자들이 학습한 내용을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응용하는지를 평가하는 교육평가의 방법으로, 지식과 능력의 적용 능력을 중심으로 평가합니다.
    이는 학습자들의 동기를 높이고 자기 효능감을 강화시키며, 학습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고 스스로 학습과 응용의 주체가 되도록 유도하는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수행평가의 기능

    - 실제 적용과 응용 능력 평가: 학습한 내용을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응용하는지를 평가하여 학습의 효과를 파악합니다.
    - 문제해결 능력 평가: 학습자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하여 실제 상황에서의 대처 능력을 파악합니다.
    - 자기평가와 피드백: 학습자들이 스스로 자신의 능력과 성과를 평가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수행평가에서의 강조점

    - 실제 적용과 응용 능력을 평가하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 능력을 존중하고 육성합니다.
    - 학습의 목적과 의미를 학습자들이 명확하게 이해하고 학습의 주체로서의 의식을 강화시킵니다.


      수행평가의 필요성

    - 학습자의 실제 능력과 응용력을 파악하여 학습 효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습의 주체가 되도록 유도하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합니다.
    - 학습의 목적과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고 학습을 응용하는 능력을 키웁니다.


      수행평가의 일반적 특징

    - 실제 상황에서의 응용 능력 평가에 중점을 둡니다.
    - 개별 학습자들의 능력과 성취도를 정확히 파악합니다.
    -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 능력을 육성합니다.
    - 학습의 목적과 의미를 학습자들이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도와줍니다.


      수행평가의 종류

    1. 서술형 및 논술형 검사 (Written Tests: Essay and Short Answer)
    학습자들에게 특정 주제에 대해 글을 작성하거나 짧은 답변을 작성하도록 하는 평가 방법입니다.
    학습자들의 지식 이해도와 논리적 사고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2. 구술시험 (Oral Examination)
    구두로 질문을 받고 답변하는 평가 방법입니다.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표현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3. 토론평가 (Discussion Assessment)
    학습자들이 주어진 주제에 대해 토론하고 의견을 제시하는 평가 방법입니다.
    학습자들의 논리적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협력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4. 실기시험 (Practical Examination)
    실제 업무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평가하는 평가 방법입니다.
    실무 능력과 업무 처리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5. 실험 및 실습법 (Experimental and Laboratory Method)
    실험 또는 실습을 통해 학습자들의 기술과 응용력을 평가하는 평가 방법입니다.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능력과 실제 적용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6. 면접법 (Interview Method)
    면접을 통해 학습자들의 지식, 능력, 자기평가 등을 평가하는 평가 방법입니다.
    개별 학습자들의 특성과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7. 관찰법 (Observation Method)
    학습자들의 학습 과정이나 행동을 관찰하여 평가하는 평가 방법입니다.
    학습자들의 실제 적용 능력과 응용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8.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학습자들이 스스로 자기평가하거나 동료들끼리 서로 평가하는 평가 방법입니다.
    학습자들의 학습과정을 점검하고 개선하는데 사용됩니다.

    9. 보고서법 (Report Method)
    특정 주제에 대해 학습자들이 보고서를 작성하여 평가하는 평가 방법입니다.
    학습자들의 논리적 사고력과 표현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10. 개념지도 작성법 (Concept Mapping)
    학습자들이 개념과 관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지도를 작성하여 평가하는 평가 방법입니다.
    학습자들의 개념 정리 능력과 지식 구조화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11. 포트폴리오법 (Portfolio Method)
    포트폴리오법은 학습자들이 학습 과정에서 제작한 작품들이나 과제물, 프로젝트 결과물 등을 모아 자기 주도적으로 정리하고 평가하는 평가 방법입니다.
    포트폴리오는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 성과와 능력을 기록하고 반성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포트폴리오법의 과정
    - 작품 및 과제물 수집: 학습자들이 학습 과정에서 제작한 작품들이나 과제물, 프로젝트 결과물 등을 수집합니다.
    - 정리 및 분석: 수집한 작품들을 정리하고 자기 평가를 통해 각 작품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합니다.
    - 자기 주도적 평가: 학습자들이 각 작품에 대해 자기 주도적으로 평가를 작성합니다. 이때 자기평가는 학습자들의 학습의지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기여합니다.
    - 평가자의 평가: 포트폴리오에 수록된 작품들은 교사나 다른 평가자에 의해 평가됩니다. 이때 학습자들은 자신의 작품을 외부에서 평가받아 볼 수 있으며,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반성 및 계획 수립: 포트폴리오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의 학습 과정을 반성하고 앞으로의 학습 계획을 수립합니다.

    포트폴리오법은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 학습과 자기평가를 도모하며, 자신의 능력과 성과를 기록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유용한 평가 방법입니다. 또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학습자들의 다양한 능력과 잠재력을 평가하는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교육에서 포트폴리오법의 적절한 활용은 학습자들의 발전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더 알아보기

     

    교육학, 박문각 교육학, 교육행정, 교육 행정, 9급 교행, 9급 교육행정, 교육 행정 7급, 교육행정 9급, 교육 행정직 합격선,

    공무원, 교육행정

      교육학, 박문각 교육학, 교육행정, 교육 행정, 9급 교행, 9급 교육행정, 교육 행정 7급, 교육행정 9급, 교육 행정직 합격선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