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교육학

Today
Yesterday
Total
  • 학습의 전이(Transfer of Learning): 종류와 이론
    교육학 2023. 7. 24. 03:06
    반응형
    학습의 전이(Transfer of Learning)는 한 학습 상황에서 얻은 지식, 기술, 능력이 다른 상황에서 어떻게 이용되고 적용되는지를 설명하는 교육학의 중요한 개념입니다.
    전이는 새로운 상황에서 이전 학습 경험에 기반하여 더 빠르게, 효율적으로 학습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전이의 측면에서 학습자가 이전 학습 경험이 새로운 학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새로운 문제 해결, 스킬 습득, 응용력 등을 강화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이는 이전 학습 경험과 새로운 상황 간의 유사성과 연결성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됩니다.


       전이의 종류

    전이는 크게 긍정적 전이(Positive Transfer)와 부정적 전이(Negative Transfer)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긍정적 전이(Positive Transfer)
    이전 학습 경험이 새로운 학습 상황에서 도움이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한 언어를 학습한 학습자가 다른 언어를 더 쉽게 배우는 것이 긍정적 전이의 예입니다.

    2. 부정적 전이(Negative Transfer)
    이전 학습 경험이 새로운 학습 상황에서 방해가 되거나 혼란을 초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다른 운동 스포츠에서 사용된 스킬이 새로운 스포츠에서 오히려 방해가 되는 경우가 부정적 전이의 예입니다.


       학자별 전이 이론

    1. 로크(Locke)의 형식도야설 (Formal Discipline Theory) - 교과중심 교육과정
    18세기 교육자 존 로크가 주장한 이론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학습함으로써 학습자의 뇌를 강화시키고 지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즉, 어떤 학문 분야를 학습하는 것은 다른 학문 분야를 학습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2. 손다이크(Thorndike)의 동일요소설 (Identical Elements Theory) - 경험중심 교육과정
    19세기 심리학자 에드워드 손다이크가 주장한 이론으로, 두 가지 학습 상황이 서로 유사한 요소를 갖는다면 전이가 발생한다고 말합니다. 즉, 이전 학습과 새로운 학습 간의 공통된 요소가 있을 때에만 전이가 일어난다고 설명합니다.

    3. 저드(Judd)의 일반화설(동일원리설) (Generalization Theory) - 학문중심 교육과정
    20세기 심리학자 찰스 Judd가 주장한 이론으로, 비슷한 상황에서 배운 내용을 다른 상황에 일반화하여 적용한다고 말합니다. 즉, 유사한 상황에서 학습한 것들을 새로운 상황에서 적용하는 것이 전이라고 설명합니다.

    4. 코프카(Koffka)의 형태이조설 (Transfer by Identification) - 학문중심 교육과정, 발견학습
    20세기 심리학자 쿠르트 코프카가 주장한 이론으로, 새로운 학습을 이전 학습과 유사한 방식으로 해석하고 적용함으로써 전이가 이루어진다고 설명합니다.
    학습자는 이전 학습 경험을 참조하여 새로운 학습을 이해하고 적용합니다.


       전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유사성(Similarity)
    이전 학습과 새로운 학습 사이의 유사성이 전이에 영향을 미칩니다. 두 학습 간에 공통된 요소가 많을수록 긍정적인 전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관련성(Relevance)
    이전 학습과 새로운 학습 간의 관련성이 전이에 영향을 줍니다. 학습자가 새로운 내용을 이전 학습과 연결할 수 있을 때, 새로운 학습에 대한 이해와 적용이 더 쉬워집니다.

    3. 피드백(Feedback)
    효과적인 피드백은 전이를 촉진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적절한 피드백을 받는 것은 학습자의 전이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4. 연습(Practice)
    반복적인 연습과 응용은 전이를 강화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이전 학습 내용을 반복적으로 복습하고 다양한 상황에 적용하는 것이 전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5. 문맥(Context)
    학습된 내용을 다른 문맥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자가 다양한 상황에서 학습하고 적용하는 것이 전이에 영향을 미칩니다.

    전이는 학습의 중요한 측면으로서,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응용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영향을 미칩니다.
    전이 이론들은 학습의 유용성과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교육과정 및 학습 전략을 설계하고 평가하는 데에 중요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 경험을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하고 응용하는 것은 지속적인 학습과 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교육자들은 학습의 전이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학습을 도울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

     

    교육학, 박문각 교육학, 교육행정, 교육 행정, 9급 교행, 9급 교육행정, 교육 행정 7급, 교육행정 9급, 교육 행정직 합격선,

    공무원, 교육행정

      교육학, 박문각 교육학, 교육행정, 교육 행정, 9급 교행, 9급 교육행정, 교육 행정 7급, 교육행정 9급, 교육 행정직 합격선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