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의사결정이론과 의사결정모형
    교육학 2023. 7. 25. 00:34
    반응형
    의사결정이론은 개인이나 조직이 여러 선택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과 이를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일상 생활에서부터 경영, 정책 결정까지 다양한 상황에서 의사결정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의사결정은 합리적인 이유와 주관적인 판단, 환경적인 제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이루어지며, 의사결정이론은 이러한 과정을 이해하고 개선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의사결정과정

    의사결정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1. 문제 인식 (Problem Identification): 의사결정의 출발점으로, 문제 또는 목표를 인식하고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목표를 설정합니다.
    2. 정보 수집 (Information Gather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정보의 정확성과 완전성이 중요합니다.
    3. 대안 도출 (Generating Alternatives):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들을 도출하고 정리합니다. 가능한 모든 선택지를 고려합니다.
    4. 대안 평가 (Evaluating Alternatives): 도출된 대안들을 평가하여 장단점과 결과를 고려합니다. 각 대안의 가능성과 영향을 파악합니다.
    5. 대안 선택 (Alternative Selection):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대안을 선택합니다. 선택된 대안이 문제 해결에 가장 적합한지 고려합니다.
    6. 실행 (Implementation): 선택된 대안을 실행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제로 행동에 옮깁니다.
    7. 평가 (Evaluation): 결정한 대안의 결과를 평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 개선합니다.


       의사결정모형

    의사결정모형은 의사결정의 특성과 특징을 나타내는 개념적인 구조입니다. 다양한 의사결정모형이 제안되었고, 그 중 일부를 소개하겠습니다.

    1. 리츠(Reitz)의 합리모형 (이상적 모형)
    리츠는 의사결정을 합리적인 과정으로 이해하는 모형입니다. 이상적인 상태에서 최적의 선택을 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정보 수집과 분석, 대안 평가, 결과 예측 등 합리적인 접근을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수행합니다.

    2. 사이먼(Simon) & 마치(March)의 만족모형 (제한된 합리성, 주관적 합리성)
    사이먼과 마치는 인간의 의사결정이 항상 완벽한 합리성을 갖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제한된 정보와 시간, 인지적 한계 등으로 인해 의사결정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주관적 가치와 우선순위가 영향을 미칩니다.

    3. 린드블럼(Lindblom)& 윌다브스키(Wildavsky)의 점증모형 (합의지향적, 정치적 합리성)
    린드블럼과 윌라브스키는 여러 이해관계자의 의견과 요구를 고려하며 협의를 이루는 의사결정을 이해하는 모형입니다.
    이 모형은 여러 이해관계자의 관점과 흥미를 고려하여 협의를 이루는 결정을 추구합니다. 정치적인 과정이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4. 에치오니(Amitai Etzioni)의 혼합모형 (합리모형+점증모형=합리실용형 모형)
    에치오리의 혼합모형은 합리모형과 점증모형을 결합하여 의사결정이 합리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모형입니다. 의사결정은 합리적인 고려와 동시에 현실적인 제약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합리적 목표와 실현 가능성을 모두 고려합니다.

    5. 코헨(Cohen) & 마치(March) & 올젠(Olsen)의 쓰레기통 모형 (비합리적 의사결정: 문제의 우연한 해결)
    코헨과 마치와 올센의 쓰레기통 모형은 의사결정의 비합리적인 면을 강조하는 이론입니다.
    이 모형은 의사결정이 합리적인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연한 요소나 외부의 무작위한 영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 모형은 의사결정이 우연이나 우연적 상황에 의해 결정될 수 있습니다. 합리성보다 우연성이 강조됩니다.

    쓰레기통 모형은 다양한 문제나 대안들이 마치 쓰레기통에 버려지는 것과 같이 무작위로 형성되고 결정되는 것으로 비유됩니다. 이 모형은 현실적인 의사결정을 설명하기 위해 생각보다 많은 사회적, 심리적인 요인들이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주관적인 기분, 우연한 인사이트, 환경 요인 등이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이 모형은 설명하고자 합니다.


       쓰레기통 모형의 특징

    1. 비합리적 결정: 쓰레기통 모형은 의사결정이 합리적인 이유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연한 요소나 시기적절한 상황에 따라 결정되는 비합리적인 특성을 강조합니다.

    2. 외부 영향: 이 모형은 의사결정이 주관적이거나 예측 불가능한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부의 우연한 상황이나 인사이트가 의사결정을 결정짓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비선형적 프로세스: 쓰레기통 모형은 의사결정이 일정한 선형적인 과정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비선형적이고 무작위적인 프로세스로서 형성된다고 주장합니다.

    4. 실험적인 특성: 이 모형은 실험적인 측면을 강조합니다. 즉, 의사결정이 실험과 같이 시행착오를 통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합니다.

    쓰레기통 모형은 의사결정이 단순하고 합리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이 모형이 모든 의사결정 상황을 설명할 수는 없으며, 다른 의사결정모형과 함께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러한 의사결정모형은 다양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각 모형은 의사결정의 특성과 특징을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의사결정 과정을 더 잘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더 알아보기

     

    교육학, 박문각 교육학, 교육행정, 교육 행정, 9급 교행, 9급 교육행정, 교육 행정 7급, 교육행정 9급, 교육 행정직 합격선,

    공무원, 교육행정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